출애굽기 10장 분석: 메뚜기 재앙과 흑암 재앙, 그리고 바로의 완악함
출애굽기 10장 분석: 메뚜기 재앙과 흑암 재앙, 그리고 바로의 완악함

출애굽기 10장은 애굽에 임한 여덟 번째(메뚜기)와 아홉 번째(흑암) 재앙을 다룹니다. 하나님은 바로의 완악함을 더욱 강하게 하셔서 그의 교만이 극에 달하게 하시고, 이를 통해 하나님의 능력을 더욱 확실히 나타내십니다. 그러나 바로는 여전히 완고한 마음을 유지하며, 이스라엘 백성을 완전히 보내기를 거부합니다.
---
1. 하나님의 계획과 바로의 완악함 (1~2절)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내가 바로와 그의 신하들의 마음을 완강하게 하였다"**라고 말씀하심 (1절)
목적: 하나님의 기적을 애굽에 행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알게 하기 위함 (2절)
▶ 분석:
하나님은 단순히 바로를 벌하시려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기억하고 후손들에게 전하도록 하시려는 의도를 가지고 계십니다. 또한 바로가 완악해지는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전능하심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하십니다.
---
2. 여덟 번째 재앙: 메뚜기 재앙 (3~20절)
1) 경고 (3~6절)
모세와 아론이 바로에게 가서 **"언제까지 교만할 것이냐? 하나님을 경외하고 이스라엘 백성을 보내라"**고 말함 (3절)
만약 보내지 않으면 메뚜기 떼가 와서 모든 작물을 먹어치울 것 (4~6절)
2) 바로의 신하들이 반발 (7절)
애굽의 신하들이 바로에게 **"이제라도 이스라엘을 보내라. 애굽이 망한 것을 보지 못하느냐?"**라고 경고함
▶ 분석:
이전 재앙들로 인해 애굽의 지도층조차도 바로의 고집이 나라를 망치고 있음을 깨닫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바로는 여전히 강경한 입장을 유지합니다.
3) 협상과 거부 (8~11절)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다시 불러 이스라엘 남자들만 보내겠다고 제안 (10~11절)
모세는 모든 백성이 가야 한다고 주장하자, 바로가 거절함
▶ 분석:
바로는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타협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부분적인 순종이 아니라 완전한 순종을 요구하십니다.
4) 메뚜기 재앙 실행 (12~15절)
모세가 지팡이를 들자 강한 바람이 불어와 메뚜기 떼가 애굽을 뒤덮고 모든 곡식과 나무를 파괴 (12~15절)
▶ 분석:
이 재앙은 애굽의 마지막 식량 공급을 초토화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애굽의 농사 신(오시리스)과 풍요의 신들도 무력해졌습니다.
5) 바로의 거짓 회개와 다시 완악해짐 (16~20절)
바로가 모세에게 "내가 여호와께 죄를 지었다"고 고백하고 용서를 구함 (16~17절)
그러나 하나님이 메뚜기 떼를 없애자 바로는 다시 마음을 바꿈 (18~20절)
▶ 분석:
바로는 재앙이 심할 때만 회개하는 척하지만, 재앙이 끝나면 다시 고집을 부립니다. 이는 진정한 회개가 아니라 자기중심적인 태도임을 보여줍니다.
---
3. 아홉 번째 재앙: 흑암 재앙 (21~29절)
1) 흑암 재앙 실행 (21~23절)
모세가 하늘을 향해 손을 들자 애굽 전역에 3일 동안 짙은 어둠이 덮임 (21~22절)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이 사는 곳에는 빛이 있음 (23절)
▶ 분석:
흑암 재앙은 태양신(라)을 숭배하는 애굽인들에게 치명적인 타격이었습니다. 하나님이 태양조차 다스리시는 분임을 증명하는 사건입니다.
2) 마지막 협상 시도와 파국 (24~29절)
바로가 이번에는 사람들은 가도 되지만, 가축은 두고 가라고 협상 (24절)
모세는 "가축도 다 가져가야 한다"고 거절 (25~26절)
바로가 분노하여 모세를 내쫓으며, 다시는 자신을 보지 말라고 함 (28절)
모세도 **"당신의 말대로 다시는 당신을 보지 않겠다"**고 응답 (29절)
▶ 분석:
바로는 여전히 하나님과 타협하려 하지만, 모세는 하나님이 요구하신 조건에서 한 치도 물러서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이제 바로와 모세의 대화는 끝이 나고, 마지막 열 번째 재앙인 장자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암시합니다.
---
출애굽기 10장의 주요 교훈
1. 하나님의 기적은 그의 백성에게 믿음의 증거가 된다
하나님은 애굽에 기적을 행하심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확실히 알게 하셨습니다 (2절).
2. 진정한 순종은 부분적인 타협을 거부하는 것이다
바로는 계속해서 부분적인 타협을 제안하지만, 모세는 끝까지 하나님의 명령을 고수합니다.
우리의 신앙도 세상의 유혹과 타협하지 말고,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해야 합니다.
3. 거짓 회개는 결국 무너진다
바로는 재앙이 닥칠 때마다 회개하는 척했지만, 상황이 나아지면 다시 완악해졌습니다.
진정한 회개는 환경이 아닌 마음의 변화에서 시작됩니다.
4.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을 구별하신다
메뚜기 떼와 흑암 재앙 속에서도 이스라엘 백성은 보호받음 (23절).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을 세상과 구별하여 지키십니다.
5. 완고함은 심판을 부른다
바로의 완악함은 결국 열 번째 재앙으로 이어집니다.
하나님이 여러 번 경고하시는데도 듣지 않는다면, 심판이 임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출애굽기 10장은 마지막 재앙을 앞두고 점점 극단으로 치닫는 바로의 완악함과, 하나님의 강력한 역사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바로처럼 거짓 회개를 반복하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대신 모세처럼 하나님의 말씀에 끝까지 순종하며,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신앙을 가져야 합니다.
다음 장(출애굽기 11장)에서는 마지막 재앙인 장자의 죽음과 출애굽 준비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