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출애굽기 1장 분석: 이스라엘의 번성과 압제의 시작

think3936 2025. 3. 10. 15:09
반응형

출애굽기 1장 분석: 이스라엘의 번성과 압제의 시작


1. 서론: 출애굽기의 배경

출애굽기(Exodus)는 창세기의 이야기 이후 약 400년이 지난 시점에서 시작됩니다.
창세기가 하나님의 창조와 이스라엘의 조상들(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의 이야기를 다뤘다면,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이집트)에서 어떻게 성장하고, 억압받으며, 결국 하나님의 능력으로 해방되는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출애굽기 1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강력한 민족으로 번성하지만, 새로운 왕(바로)의 등장으로 인해 심한 억압을 받게 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는 모세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의 배경이 됩니다.


---

2. 출애굽기 1장의 구조

출애굽기 1장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이스라엘 자손의 번성 (1:1-7)


2. 새로운 바로의 등장과 이스라엘 억압 (1:8-14)


3. 산파들을 통한 하나님의 보호 (1:15-22)




---

3. 출애굽기 1장 상세 분석

1) 이스라엘 자손의 번성 (1:1-7)

> “이스라엘 자손이 생육하고 번성하며 창대하고 심히 강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 (1:7)



▶ 야곱의 후손들이 애굽에서 성장함

야곱의 아들들과 그들의 가족(총 70명)이 애굽으로 내려왔음을 다시 언급함.

요셉과 그의 세대는 죽었지만, 이스라엘 민족은 놀라운 속도로 증가하며 애굽 땅에 가득하게 됨.

이는 **하나님의 언약(창 12:2, “내가 너를 큰 민족을 이루게 하리라”)**이 성취되고 있음을 보여줌.


▶ 신학적 의미

**창세기 1:28의 창조 명령(“생육하고 번성하라”)**이 하나님의 언약 백성에게도 적용됨.

하나님의 축복이 임할 때, 외부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성장할 수 있음을 보여줌.



---

2) 새로운 바로의 등장과 이스라엘 억압 (1:8-14)

>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 애굽을 다스리더니” (1:8)



▶ 새로운 왕의 등장과 두려움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로운 바로(파라오)**가 등장함.

이전의 바로는 요셉의 공적을 인정하고 이스라엘을 우호적으로 대했지만, 새로운 왕은 요셉을 인정하지 않고 이스라엘을 위협적인 존재로 여김.

이스라엘 민족이 너무 번성하여 애굽을 위협할 수 있다고 두려워함(1:9-10).

**‘적과 내통할 가능성’**을 염려하며 그들을 압제하기로 결정함.


▶ 이스라엘의 강제 노동과 고난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을 고된 노동으로 억압하기 시작함(1:11).

성경에 따르면 “그들을 괴롭게 할수록 더욱 번성하였다” (1:12).

애굽인들은 더욱 강한 억압과 고통을 가중시킴.


▶ 신학적 의미

하나님이 고난 속에서도 백성을 성장시키심을 보여줌.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오래 머물러서는 안 되도록, 하나님이 새로운 환경을 조성하고 계심.



---

3) 산파들을 통한 하나님의 보호 (1:15-22)

> “히브리 산파 십브라와 부아라라 하는 두 사람이 있었더니” (1:15)



▶ 바로의 명령: 이스라엘 남자아이 살해 지시

강제 노동으로도 이스라엘의 번성을 막을 수 없자, 바로는 히브리 산파들에게 남자아이를 죽이라는 명령을 내림.

이는 단순한 인구 조절이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 자체를 약화시키려는 시도였음.


▶ 산파들의 믿음과 하나님의 개입

하지만 산파들은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왕의 명령을 어기고 아이들을 살림(1:17).

그들은 바로에게 거짓말을 하며(“히브리 여인들은 건강하여 우리가 도착하기도 전에 이미 출산합니다” 1:19),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복 주셔서 자손을 번성하게 하심(1:20-21).


▶ 바로의 두 번째 명령: 나일강에 아이들을 던져라 (1:22)

산파들이 뜻대로 되지 않자, 바로는 **“모든 히브리 남자아이를 나일강에 던지라”**는 극단적인 명령을 내림.

이는 바로의 잔인함과 이스라엘을 향한 증오를 극대화하는 장면.

하지만 이 명령은 결과적으로 모세가 나일강에 떠내려가 바로의 딸에게 구원받는 계기가 됨(출 2장).


▶ 신학적 의미

하나님의 백성을 대적하는 자는 결국 하나님의 계획을 막을 수 없다.

바로는 이스라엘을 없애려 했지만, 오히려 모세라는 구원자를 준비하는 과정이 됨.

믿음으로 행동하는 사람(산파들)은 하나님께서 직접 보호하신다.



---

4. 출애굽기 1장의 신학적 의미 및 교훈

1) 하나님의 언약 성취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큰 민족을 이루게 하리라(창 12:2)**는 약속이 현실이 되고 있음.

하지만 하나님의 계획은 항상 도전과 시험을 동반함.


2) 하나님의 백성은 환난 속에서도 성장한다

이스라엘은 억압을 받을수록 더욱 번성함(1:12).

이는 신약에서도 반복되는 원리(예: 초대교회 박해 속에서 더욱 부흥).


3) 믿음으로 사는 자를 하나님이 지키신다

산파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왕의 명령을 거부함으로써 하나님의 보호와 축복을 받음.

이는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처럼, 하나님의 법을 따를 때 하나님이 돌보신다는 원리를 보여줌.


4) 하나님의 계획을 막을 수 있는 자는 없다

바로는 하나님의 백성을 제거하려 했지만, 결국 모세를 통한 출애굽의 과정이 시작됨.

하나님의 섭리는 인간의 악한 계획도 선하게 사용하심(롬 8:28).



---

5. 결론: 출애굽의 서막

출애굽기 1장은 단순한 역사적 기록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의 시작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고난 속에서도 번성한다.

하나님은 신실한 자를 보호하시고, 하나님의 계획을 성취하신다.

악한 권력이 아무리 강해도 하나님의 섭리를 막을 수 없다.


이제 2장에서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구원할 지도자 ‘모세’를 준비하시는 과정이 시작됩니다.


반응형